블룸버그 “폴리실리콘 공급사, 미 제재…한화큐셀 패널에 들어간 증거는 없어”
한화큐셀 “폴리실리콘 원산지 증빙서류 제출 의무화”
한화솔루션 큐셀부문(한화큐셀)이 제재 대상 중국 기업과 관련된 의혹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거액의 세제 혜택을 받는다고 블룸버그통신이 9일 보도했다.
이에 한화큐셀은 미국에서 판매하는 태양광 패널 제품에 중국 신장에서 생산한 폴리실리콘은 들어있지 않다고 반박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한화큐셀은 북미지역에서 처음으로 핵심 태양광 밸류체인을 모두 제조해서 미 정부로부터 대규모 세제 혜택을 받으려고 하지만, 조지아주 달튼의 태양광 모듈 공장에서 적어도 올해 말까지는 중국산 기초 재료를 사용한다.
또 한화큐셀에 웨이퍼를 납품한 중국 기업 두 곳에 폴리실리콘을 공급한 업체가 강제노동과 관련해 미 정부 제재 명단에 올랐다는 내용의 중국 문서가 새로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은 한화큐셀의 태양광 패널에서 강제노동과 관련된 폴리실리콘이 들어간 부품이 나왔다는 증거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화큐셀이 중국 납품업체들을 얼마나 잘 감독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미 당국은 지난 2월 태양광 관련 수입업체들에 강제노동으로 생산된 자재가 공급망에 포함되지 않게 하는 정책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한화큐셀은 원자재가 신장 지역에서 생산되지 않고, 강제노동이 투입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도록 업체들에 요구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문서에 따르면 한화큐셀에 웨이퍼를 납품하는 업체들이 미국 제재를 받은 기업으로부터 폴리실리콘을 조달했다고 전했다.
계약 기간 중 해당 업체의 유일한 폴리실리콘 생산지는 강제노동으로 논란이 되는 신장이었다.
이에 대해 데브라 드숑 한화큐셀 커뮤니케이션 담당은 “다른 고객을 위해 사용하는 폴리실리콘을 어디서 조달하는지 물을 권한은 없다”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또 한화큐셀이 폴리실리콘 소싱과 관련해서 세부 내용을 공개하지 않는데, 이는 일부 업체들이 연구진에 관련 자료를 제공하는 것과는 대조된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영국 셰필드 할람 대학교 연구진은 지난해 강제노동과 태양광 산업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한화큐셀이 납품업체 정보를 충분히 공개하지 않는 점에서 강제노동과 관련한 폴리실리콘을 사용할 위험이 매우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일부에선 한화큐셀 공급망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전했다.
비영리 단체인 에너지 공정 무역 연합(EFTC)은 “한화큐셀 납품업체가 제재 대상에 있는데 관세국경보호청(CBP)에서 조사하지 않는 것은 이상하다”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한화큐셀이 달튼과 카터스빌 공장을 통해 2032년까지 매년 9억달러(약 1조2천억원) 이상 세제 혜택을 받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드숑 담당은 태양광 웨이퍼의 99%가 중국이나 중국계 회사에서 생산되므로 중국과 연결 없이 운영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한화큐셀은 이를 바꾸려고 노력하는 유일한 업체라고 말했다.
한화큐셀은 “한화큐셀의 제조 밸류체인에 강제노동 발생 지역(신장)에서 생산된 원자재가 포함돼있다는 블룸버그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한화큐셀은 “현재 미국 시장에서 판매하는 태양광 모듈에는 신장산 원자재가 포함돼있지 않고, 납품업체들에 원산지 증빙서류 제출을 의무화하고 있다”며 “정기 방문 실사를 통해 신장산 제품이 포함되지 않도록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화큐셀은 “미국 위구르 강제노동 금지법(UFLPA)이 발효되기 전인 2021년 초부터 미국 시장에 투입되는 제품에 관련 이슈가 있던 협력업체의 웨이퍼 사용을 중단했고, 감사 결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공급망에서 완전히 배제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