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격사건 기사·사진…프로퍼블리카, 2년연속 공공서비스상
트럼프·사주 베이조스 비판하다 사직한 WP 만평가도 영예
미국 최고 권위를 가진 퓰리처상 선정위원회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관련된 보도를 한 다수 언론인을 수상자들로 선정했다.
선정위는 5일 발표한 제109회 퓰리처상 언론 속보 기사 부문 수상자로 지난해 7월 13일 트럼프 대통령 피격 사건을 보도한 워싱턴포스트(WP) 취재팀을 선정했다.
아울러 언론 속보 사진 부문 수상자로는 같은 사건을 취재한 뉴욕타임스(NYT) 더그 밀스 기자를 선택했다.
트럼프 대통령 피격 사건을 다룬 콘텐츠가 양대 속보 부문을 모두 석권한 셈이다.
선정위는 WP에 대해 “전통적인 경찰 기사와 시청각 기법을 활용, 상세한 스토리텔링과 날카로운 분석을 통해 긴급하면서도 통찰력 있는 보도를 했다”고 평가했다.
밀스 기자에 대해서는 “트럼프 당시 후보가 연설하는 동안 허공을 가르는 총알까지 포착해냈다”고 치하했다.
언론 부문의 총 15개 상 가운데 만화·삽화 부문도 트럼프 대통령과 연관된 인물이 수상자가 됐다.
WP의 만평 작가였으나 사주인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를 비롯한 빅테크 거물들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돈다발을 바치는 장면을 그린 풍자 만평의 게재를 거부당하자 사직한 앤 텔네이스가 주인공이다.
선정위는 텔네이스를 수상자로 선정한 이유에 대해 “능숙하고 창의적으로 힘 있는 인물과 기관을 비판했고, 17년간 재직한 조직을 떠날 정도의 용기를 갖췄다”고 격려했다.
국가 보도 부문 수상자로 선정된 월스트리트저널(WSJ) 취재팀 역시 간접적으로 트럼프 대통령과 연관된 보도를 했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떠오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정치적 성향이 변모한 과정과 약물 오남용 의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사적인 대화 등을 추적했다.
한편 퓰리처상 가운데 가장 높은 권위를 인정받는 공공서비스 부문에서는 엄격한 낙태법이 적용되는 주에서 의사들의 늑장 대처로 사망한 산모들의 사례를 다룬 탐사보도 전문매체 프로퍼블리카가 수상자로 뽑혔다.
프로퍼블리카는 지난해 미 연방대법관의 도덕성 문제를 파헤친 기사로 이 상을 받은 데 이어 2년 연속 수상했다.
미국 언론인 조지프 퓰리처의 이름을 따 1917년 탄생한 퓰리처상은 매년 언론 분야와 예술 분야에서 부문별 수상자를 선정한다.
공공서비스 부문 수상자에게는 금메달이 수여되고, 나머지 수상자들에게는 1만5천달러를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