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보고서 “관세부담 현재까진 기업부담…향후 소비자가 3분의 2 부담”
트럼프 “잘못된 예측, 분석가 바꿔라”…골드만 이코노미스트 “기존 분석 유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의 경제 영향을 부정적으로 본 투자은행 골드만삭스 분석가를 교체해야 한다고 압박한 가운데 이 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관세가 미국 소비자들의 지갑에 타격을 주기 시작할 것”이라며 기존 분석에 문제가 없다는 견해를 밝혔다.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메리클 미국 경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3일 CNBC 방송에 출연해 “우리는 우리의 기존 분석 결과를 고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가장 최근 부과된 관세들이 2월에 부과된 초기 관세와 같은 패턴을 따른다면 가을에 이르면 소비자들이 비용 상승분의 3분의 2를 부담할 것으로 추정한다”라고 말했다.
골드만삭스의 엘시 펭 미국 경제 이코노미스트는 앞서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 소비자들은 관세 비용의 22% 흡수했고, 향후 관세가 초기에 부과된 관세의 패턴을 뒤따를 경우 소비자의 관세 비용 부담 비중이 67%로 오를 것이라고 추산한 바 있다.
지금까지는 관세 부담을 기업들이 져왔지만 앞으로는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될 것이란 이 같은 보고서 내용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개적인 비난을 초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솔로몬 최고경영자(CEO)를 향해 “데이비드는 새 이코노미스트를 고용하거나 아니면 단순히 (솔로몬의 취미 활동인) DJ로 활동하는 데 집중하고 대형 금융기관 경영에는 신경 쓰지 않는 게 나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가 미국에 인플레이션이나 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다는 것이 입증됐다. 오히려 엄청난 양의 현금(관세 수입)이 재무부 금고로 유입되고 있고, 대부분의 경우 소비자는 이 관세를 부담하지 않고 있고, 주로 기업, 정부, 많은 경우 외국이 이 비용을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직접적인 비판에도 불구하고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방송에 출연해 자신들의 분석에 문제가 없다고 한 셈이다.
메리클 이코노미스트는 기업들의 관세 영향이 수입품 의존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며 “만약 당신이 외국과의 경쟁으로부터 보호받는 미국 내에서 생산하는 회사라면 가격을 올리고 혜택을 볼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백악관이나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견해처럼 우리도 관세의 물가 영향이 일회성일 것으로 본다”며 “연준에는 물가보다 노동시장이 지배적인 우려 사항이 될 것으로 본다”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