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세계 직접 학습하는 AI 개발…베이조스 출연금 포함 9조원 투자 확보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의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최고경영자(CEO)로 경영 일선에 복귀한다.
베이조스는 컴퓨터, 항공우주, 자동차 등 분야 AI를 개발하는 스타트업 ‘프로젝트 프로메테우스’의 공동 CEO를 맡는다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소식통을 인용해 17일 보도했다.
베이조스가 공식 직함을 갖고 경영에 참여하는 것은 아마존 CEO에서 물러난 2021년 7월 이후 약 4년 만이다.
베이조스는 자신의 우주기업 블루오리진에도 깊이 관여하고 있지만, 이 회사에서의 공식 직함은 ‘창업자’일 뿐이다.
프로젝트 프로메테우스는 베이조스가 직접 출연한 금액을 포함해 이미 62억 달러(약 9조원)의 투자금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코스피 시장 시가총액 70위권에 해당하는 규모다.
프로젝트 프로메테우스는 주로 텍스트를 기반으로 학습을 진행해 대형언어모델(LLM)을 구축하는 데 주력해온 오픈AI 등 기존의 생성 AI보다 복잡한 학습 방식을 채택한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텍스트 대신 실제 물리 세계를 관찰하고 직접 실험을 진행해서 학습함으로써 AI가 현실 세계를 보다 정확히 반영할 수 있게 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는 ‘AI 과학자’를 만들겠다고 선언한 피리오딕 랩스 등 일부 신생 AI 기업과 유사한 방향이다. 베이조스는 최근 3억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한 피리오딕 랩스의 투자자이기도 하다.
프로젝트 프로메테우스는 오픈AI와 구글 딥마인드, 메타 등 주요 AI 기업에서 영입한 연구원들을 포함해 이미 직원 100여 명을 채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NYT는 이 회사가 그간 업계 전면에 나서지 않아 아직 설립 시점이나 본사 위치 등도 불분명하다고 설명했다.
베이조스와 함께 CEO를 맡은 이는 물리학자이자 화학자로 구글 창업자 세르게이 브린과 함께 구글X에서 일했던 비크 바자즈 박사다.
구글X는 드론 배송 서비스 ‘윙’과 자율주행 차량 ‘웨이모’, AI 의료기업 ‘베릴리’ 등을 탄생시킨 구글의 연구 프로젝트였다. 바자즈 박사는 베릴리의 창립 구성원이기도 하다.
바자즈 박사는 현재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링크트인 프로필에서 자신의 현재 직위를 프로젝트 프로메테우스의 공동 CEO이자 공동창업자로 표기하고 있으며, 근무지로는 샌프란시스코와 영국 런던, 스위스 취리히 세 곳을 적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