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연구팀 “노년기 인지 저하 막으려면 청력·외로움 함께 관리해야”
나이가 들면서 증가하는 노인성 난청 등 청력 손실이 사회적 고립이나 외로움과 겹칠 경우 인지 기능 저하 속도가 더 빨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제네바대학(UNIGE) 카리클레이아 람프라키 박사팀은 19일 국제학술지 커뮤니케이션스 심리학(Communications Psychology)에서 유럽 노인 3만3천여명을 대상으로 청력 손실과 외로움이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사회적 고립 여부와 관계 없이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의 경우 청력 손실이 생기면 인지 저하가 가속화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는 노인 청력 관리를 조기에 예방적으로 할 필요성을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청력 손실 또는 상실은 사회적 고립과 의사소통 어려움, 주의력 감소 등을 초래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지 저하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50년에는 세계적으로 25억명이 청력 손실 또는 장애를 겪을 것으로 예상되며, 60세 이상 인구의 약 25%가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청력 손상을 경험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50세 이상 유럽인을 대상으로 한 유럽 건강·노화·은퇴 조사(SHARE) 참가자 3만3천741명(평균 연령 61.4세)에 대해 사회적 고립 및 외로움 양상이 청력 손실과 인지 기능 간 연관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참가자들은 2년마다 활동, 사회적 연결, 인식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고, 표준화 과제를 통해 일화기억(episodic memory) 등 인지 기능을 검사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자기 보고를 토대로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외로운 사람, 고립되지 않았지만 외로운 사람, 고립돼 있지만 외롭지 않은 사람, 고립되지 않고 외롭지도 않은 사람 등 네 그룹으로 나눠 비교했다.
분석 결과 청력 손실 정도가 심하거나 악화한 경우 즉각회상과 지연회상 같은 일화기억과 언어 유창성 같은 인지 수행 능력이 더 낮고 저하되는 속도도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지 기능은 사회적으로 고립되었거나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고립되지 않고 외롭지 않은 사람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더 많이, 더 빠르게 저하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인지 저하가 가장 큰 그룹은 고립되고 외로운 사람들이었고, 고립되지 않았지만 외로운 사람들이 다음으로 큰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청력 손실과 외로움이 겹칠 경우 인지 저하 폭과 속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노인층의 인지 저하를 예방하려면 청력 손실뿐 아니라 사회적, 정서적 측면을 모두 다루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뒷받침한다며 이는 사회적으로 고립돼 있지 않지만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 결과는 인지 노화 관리에서 감각적 요인과 심리사회적 요인을 모두 고려하는 게 중요함을 보여준다며 사회적으로 고립되지 않은 사람들도 외로움과 청력 손실을 함께 관리하는 게 노년기 인지 건강 증진에 핵심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출처 : Communications Psychology, Charikleia Lampraki et al., ‘Profiles of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as moderators of the longitudinal association between uncorrected hearing impairment and cognitive aging’, https://www.nature.com/articles/s44271-025-002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