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성해나·’어쩌면 해피엔딩’ 박천휴 젊은예술가상
오늘 오후 모두예술극장서 시상식
한국을 대표하는 소설가로 꼽히는 황석영(본명 황수영)이 문화예술 분야 정부 포상 최고 영예인 금관문화훈장을 받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7일 ‘2025년 문화예술발전 유공자’로 문화훈장 수훈자 17명과 대한민국 문화예술상(대통령 표창) 수상자 5명,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문체부 장관 표창) 수상자 8명, 예술가의 장한 어버이상(문체부 장관 감사패) 수상자 3명 등 총 33명을 선정해 발표했다.
‘장길산’, ‘바리데기’, ‘삼포 가는 길’ 등을 펴낸 황석영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소설가로서 반세기 이상 한국문학의 흐름을 이끌며 깊이 있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사회적 치유와 성찰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은관 문화훈장은 50년 동안 프랑스 대표 문학작품들을 번역해온 김화영 고려대 명예교수, 50여년 동안 활발한 창작 활동을 펼친 한태숙 연극연출가, 한국미술 발전에 기여한 유희영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우수한 건축 유산을 창출한 조성룡 건축사사무소 대표 4명이 수훈한다.
보관 문화훈장은 한국문학 세계화에 기여한 권영민 서울대 명예교수, 50여년 동안 150여곡을 작곡한 나인용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한국 음악의 위상을 높인 첼로 연주자 양성원 연세대 관현학과 교수, 실험적 현대미술 운동을 주도한 이강소 작가, 조경디자인 발전에 기여한 정영선 조경설계서안 대표 5명이 받는다.
옥관 문화훈장은 김형배 만화가, 최경만 서울시 무형유산 삼현육각 보유자, 김아라 연극연출가, 신상호 도예가 4명이 수훈한다. 화관 문화훈장 수훈자는 최신규 초이크리에이티브랩 대표, 윤석구 한국동요사랑협회 고문, 허영일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 3명이다.
대한민국 문화예술상에는 문화일반 부문 종이문화재단, 문학 부문 은희경 소설가, 음악 부문 최우정 서울대 작곡과 교수, 연극 부문 임도완 극단 사다리움직임연구소 소장, 미술 부문 고(故) 박영숙 사진작가 5명에게 수여한다. 수상자에게는 대통령 표창과 상금 각 1천만원을 수여한다.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수상자로는 문학 부문 성해나 소설가, 음악 부문 이하느리 작곡가, 국악 부문 김준수 국립창극단 단원, 연극 부문 ‘어쩌면 해피엔딩’ 박천휴 작가, 무용 부문 전 국립무용단 부수석 단원 최호종 무용가, 미술 부문 양정욱 작가, 공예 부문 유의정 도예가, 건축 부문 김영배 드로잉웍스건축사사무소 대표 8명이 선정됐다. 이들은 문체부 장관 표창과 상금 500만원을 받는다.
자녀를 훌륭한 예술가로 키운 장한 어버이상 수상자로는 드럼 연주자 이태양씨의 어머니 김혜영씨, 가수 송가인(본명 조은심)씨와 아쟁 연주자 조성재씨의 어머니 송순단씨, 현대미술작가 김현우(예명 픽셀김)씨의 어머니 김성원씨 3명이 받는다. 이들에겐 문체부 장관 감사패와 400만원의 부상을 수여한다.
김영수 문체부 1차관은 이날 오후 2시 서울 서대문구 모두예술극장에서 열리는 시상식에 참석해 유공자들에게 상을 수여한다.
김 차관은 “수상자 33명에게 진심을 담아 축하와 존경의 인사를 드린다”며 “한국문화예술의 지속 발전을 제도와 정책적으로 뒷받침해 ‘문화강국 대한민국’이라는 꿈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