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세대 전염병으로부터 보호할 역사적 기회 포착”
코로나19와 유사한 팬데믹 재발에 대비한 국제규범을 만들기 위한 세계보건기구(WHO) 회원국들의 협상이 합의에 근접했다고 WHO가 29일 밝혔다.
WHO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국제보건규약(IHR) 개정안 초안을 만들기 위한 정부 간 협상기구 실무그룹이 8차까지 진행된 회의에서 중요한 진전을 봤다고 전했다.
회원국 간 최종 합의 단계에 가까워진 초안은 다음 달 16∼17일에 재개될 회의에서 마지막으로 논의된다고 WHO는 설명했다.
WHO는 협상 진전 사항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거론하지는 않았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전염병의 영향으로부터 미래 세대를 보호할 역사적인 기회를 포착한 것”이라고 현 협상 국면을 평가했다.
IHR 개정안은 글로벌 보건 위기를 초래할 감염병 대유행이 발생했을 때 국제사회가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각종 규범을 담게 된다.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초동 대응이 늦었고 백신 허가와 보급 등이 일관성 있게 추진되지 못했다는 반성 속에 작년부터 WHO 회원국들은 정부 간 협상기구(INB)를 꾸리고 개정안 초안 작성 논의를 해왔다.
내달 27일부터 열리는 세계보건총회에 최종 합의를 마친 초안을 올려 채택되도록 하자는 게 WHO와 회원국들의 계획이다.
그간 IHR 개정안 합의 과정은 순탄치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WHO가 ‘역사적 기회를 포착했다’는 표현을 써 가며 보도자료를 낸 것은 IHR 초안 합의가 그만큼 어려웠다는 점을 반증한다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로 IHR 초안을 둘러싸고 회원국 간 이견이 많았다. 국가별 소득 수준과 보건 역량에 따라 이해관계가 갈리는 사항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백신·치료제의 지식재산권 문제나 배분 원칙 등도 각국이 쉽게 타협하기 어려운 쟁점이다.
감염병 위험 초기 WHO에 강력한 책임을 부여해 국제사회의 초동 대응 능력을 강화하자는 내용을 두고는 논란이 컸던 것으로 전해졌다. 회원국 보건 정책을 WHO가 좌우하는 게 아니냐는 반발이 일었다.
WHO는 지난달 “IHR의 어떤 조항도 WHO가 회원국 정책에 관해 지시·명령할 권한을 갖지 않도록 한다는 게 회원국들의 합의 사항”이라며 진화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