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통해 폭탄발언 “용납불가…거기서 사업할 수 없어”
‘마가’ 지지층 영향 분석…협상서 양보 얻어내려는 압박차원 관측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한국에서 숙청 또는 혁명”이 일어나는 것처럼 보인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실은 이에 정확한 상황을 파악해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라며 “숙청 또는 혁명같이 보인다”고 썼다.
이어 “우리는 그것을 수용할 수 없고, 거기서 사업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새 대통령(이재명 대통령)을 오늘 백악관에서 만난다”며 “이 문제에 관심을 가져 줘 감사한다”고 했다.
‘숙청’ 또는 ‘혁명’ 언급은 한국내 내란 특검 수사와 윤석열 전 대통령 등에 대한 수사 및 재판에 대한 것으로 추정된다.
워싱턴DC 프레스센터에서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정 브리핑 중이던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정확한 상황을) 확인을 해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강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SNS 글에 대해 대통령실도 인지하고 있나’라는 질문에 “국내에서도 페이크뉴스(가짜뉴스)가 많이 나오고 있는 만큼, 공식 계정인지 확인을 해봐야 할 사안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밝혔다.
강 대변인이 브리핑을 하던 시점과 거의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의 SNS 글이 알려진터라 그는 당시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던 상태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 직전 이 같은 ‘폭탄’ 언급을 한 것은 ‘마가(Make America Great Again·미국을 다시 위대하게·트럼프의 선거 구호)’로 불리는 트럼프 핵심 지지층내 일부 강성 인사들의 인식에 영향을 받은 측면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일례로 ‘극우 선동가’로서 백악관 인사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로라 루머는 지난 6월 이 대통령 당선 직후 엑스(X·옛 트위터)에 “공산주의자들이 한국을 접수해 오늘 대선에서 승리했다. 이는 끔찍한 일”이라는 근거 없는 주장의 글을 올렸다.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 같은 논쟁적인 글을 올림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도 한국의 내란 특검 수사와 전직 대통령 구속기소 등에 대한 문제제기를 할 가능성을 예고한 것일 수도 있어 보인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이 대통령과의 첫 회담을 앞두고 이런 메시지를 올린 것은 회담에서 최대한의 양보를 얻어내기 위한 압박 차원일 가능성도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