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재해·재건축 비용 상승이 원인
미국의 주택 소유자 보험료가 앞으로 2년 동안 최대 16%까지 추가 인상될 것으로 전망됐다.
부동산 분석 기업 코탤리티(Cotality)는 연례 부동산 콘퍼런스에서 2026년 8%, 2027년 8%의 인상 가능성을 제시하며 보험료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코탤리티 최고 데이터 및 분석 책임자인 존 로저스는 최근 보험료가 “극적으로 상승하고 있다”며 일부 지역에서는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보험료가 현재 미국 평균 주택 보유자의 월 납부액(원금, 이자, 재산세, 보험료 포함) 중 9%를 차지해 사상 최고치에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리얼터닷컴(Realtor.com) 수석 이코노미스트 다니엘 헤일은 FOX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보험료 상승은 전반적인 인플레이션과 건설 비용, 공급망 문제가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헤일은 또 “더 빈번해진 자연재해가 피해 규모와 보험 청구 증가로 이어지며 보험사들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리얼터닷컴 연구에 따르면 미국 주택 상당수가 심각한 기후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위험별 비율은 Δ홍수 위험: 6% 이상 Δ강풍 위험: 18% Δ산불 위험: 6% 등 헤일은 수조 달러 규모의 부동산 가치가 실제 기후 위험권에 있다고 강조했다.
리얼터닷컴의 9월 보고서는 해안 도시들이 높은 홍수 위험에 집중돼 있다고 밝혔다.
그중 마이애미–포트로더데일–웨스트팜비치 지역은 위험 노출 주택 가치: 3,068억 달러, 지역 전체 주택 가치 대비: 23.2%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보험료 인상이 높은 모기지 금리, 주택 가격 상승, 공급 부족 등으로 이미 위축된 주택 시장에 추가 악재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리얼터닷컴 선임 연구원 한나 존스는 보고서에서 “보험료 상승은 기존 주택 소유자에게 예기치 못한 비용 부담을 주고, 잠재 구매자에게는 월 부담액 산정의 불확실성을 키워 구매를 망설이게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보험료 인상은 취약한 시장에서 수요 약화와 주택 안정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