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피해 증언하는 김한수 할아버지
일제 강제동원으로 피해를 본 김한수 할아버지가 지난 22일 향년 108세로 별세했다.
24일 민족문제연구소는 1944년 8월부터 1년 동안 일본 나가사키 미쓰비시조선소에 강제 동원됐던 김 할아버지가 세상을 떠났다고 밝혔다.
민족문제연구소는 “고인은 미쓰비시중공업의 책임을 묻는 강제동원 소송을 제기하는 등 전범 기업을 상대로 인권과 존엄의 회복을 위해 싸워오셨다”고 밝혔다.
1918년 12월 22일 황해도 연백군 연안에서 태어난 김 할아버지는 당시 직장을 다니면 징용되지 않는다는 소문을 듣고 연백 전매지국에 취직했다.
그러나 1944년 8월 목재를 나른다는 설명을 듣고 전매청 트럭을 타고 연안읍에 갔다가 먼저 와 있는 청년 200여 명과 함께 그대로 끌려갔다.
김 할아버지는 부산, 시모노세키를 거쳐 나가사키 미쓰비시조선소에 도착해 기숙사에 배치됐고 군사훈련을 받았다. 당시 열악한 식사와 생활환경, 강압적인 규율 아래 생활했다.
작업장에서 선박에 사용하는 강철파이프를 구부리다 체인이 끊어지며 엄지발가락이 으스러지는 사고를 당했지만, 병원에 가서 주사를 맞고 발이 퉁퉁 부은 상태에서 계속 일을 해야 했다.
1945년 8월 9일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투하된 당시에는 폭심지에서 3.2㎞ 떨어진 공장에서 작업하다가 피폭됐다. 공장 철문 밑에 깔려 목을 다쳤으나 목숨을 건졌다.
이후 말린 오징어를 팔아 뱃삯을 마련해 밀항선을 타고 귀국했다.
김 할아버지는 2019년 4월 “같은 인간으로 왜 그들(일제)한테 끌려가서 개나 돼지 대우도 못 받는 인간으로 살아야 했나, 이게 참 대단히 어려운 문제”라며 소송을 냈다.
1심은 김 할아버지 패소로 판결했으나, 지난 5월 항소심이 원고 승소 판결을 하면서 80년 만에 일본 기업으로부터 1억원의 배상 판결을 받아냈다. 이 소송은 대법원에 계류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