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中 연구팀 “진단 지연으로 유방암 3·4기 발견·사망 위험 증가”
유방암 조기 발견 등을 위해 실시하는 첫 유방촬영 검진(Mammogram)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은 검진에 참여한 사람보다 장기적으로 유방암으로 사망할 위험이 40%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중국 저장대 의대 협력) 연구팀은 25일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서 스웨덴 유방암 검진 참여 대상 43만여명에 대한 첫 검진 참여 여부와 유방암 발병 및 사망 간 연관성 추적 연구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유방촬영술은 덩어리가 만져지기 전에 유방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어 치료 성공률과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며, 많은 국가에서 무료 검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연구팀은 가장 최근 검진에 참여하지 않은 여성에서 더 진행된 단계의 유방암이 자주 진단되지만, 초기 검진, 특히 첫 번째 검진 참여 여부가 장기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이들은 스웨덴 유방암 검진 프로그램에서 1991~2020년 첫 검진 대상자로 선정된 43만2천775명(나이 40세 또는 50세)에 대해 첫 검진 참여 여부와 이후 유방암 발생률, 종양 특성, 유방암 사망 등 사이의 연관성을 최대 25년간 추적 관찰했다.
검진 대상 중 첫 검진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은 32.1%(13만8천760명)였다.
이들은 이후 검진에도 지속해 참여할 가능성이 낮았고, 사회적·경제적·생식적·건강 관련 요인 등을 고려한 결과 참여자보다 더 진행된 단계의 유방암 진단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방암 발생 관찰 기간 494만375인년(person-years: 1인년은 한 사람을 1년간 관찰한 값) 동안 1만6천59건의 새로운 유방암 진단 사례가 나왔다. 25년간 유방암 발생률은 첫 검진 참여자가 7.8%, 미참여자가 7.6%로 비슷했다.
그러나 유방암이 3기에 발견될 위험은 첫 검진 미참여자가 참여자보다 53% 높았고, 미참여자의 4기 유방암 진단 위험은 참여자의 3.61배에 달했다.
또 유방암 사망 추적 기간 681만8천686인년 동안 발생한 사망자는 1천603명이었다. 첫 검진 미참여자의 25년간 누적 사망률은 1천명당 9.9명, 참여자는 7.0명으로 미참여자의 유방암 사망 위험이 약 4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5년간 유방암 발생률이 참여 그룹과 미참여 그룹이 비슷한데도 미참여자의 3·4기 유방암 검진 위험과 사망 위험이 훨씬 높은 것은 발병 증가보다는 진단 지연에 의한 것임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결과는 유방암 첫 검진에 참여하지 않은 여성이 수십 년에 걸쳐 유방암 사망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검진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맞춤형 개입이 필요하며, 이는 사망 위험을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BMJ, Wei He et al., ‘First mammography screening participation and breast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the subsequent 25 years: population based cohort study’, https://www.bmj.com/content/390/bmj-2025-085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