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첫 공동경고음에 고환율 멈칫…국민연금 환헤지 ‘1,410원선 안전장치’
고물가·고금리 부담 더 커져…빈약한 재정 탓 경기 부양 ‘부담’
고물가·고금리 피로감이 누적된 상황에서 환율까지 급등하면서 한국 경제가 움츠리는 모습이다.
반도체 경기를 지렛대 삼아 내수 회복에 전력을 다하던 정부는 환율 급등이 거시경제를 옥죄는 악재가 될까 노심초사하는 모습이다.
외환당국은 이례적으로 연이틀 구두 개입에 나서며 환율 진정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중동 불안, 탄탄한 미국 경기 등은 당분간 환율 상승을 압박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연이틀 구두개입…일본과도 ‘한목소리’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장관은 17일 미국 워싱턴 DC 세계은행에서 만나 최근 원화와 엔화 통화 가치가 급락한 데 대해 심각한 우려를 공유했다.
그러면서 외환시장 변동성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일 재무수장이 공동으로 외환시장 급변동에 대해 경고의 목소리를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날 기재부·한국은행이 “환율 움직임, 외환 수급 등에 대해 각별한 경계감을 가지고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구두개입에 나선 데 이어, 또다시 시장에 강한 경고음을 보낸 것이다.
전날 장중 1,400원을 돌파한 원/달러 환율은 이날 1,390원 안팎에서 움직이다 1,386.8원으로 마감했다. 이틀 연속 이어진 구두개입이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
최근 반도체를 중심으로 빠르게 회복 중인 무역 수지는 달러화 공급을 늘려 향후 환율을 끌어내릴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는 지난 2022년부터 3월부터 15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하다가 작년 6월 이후 흑자를 내고 있다. 고환율은 수출품의 가격을 낮춰 무역 수지 개선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400억 달러 규모의 ‘국민연금 환 헤지’도 시장에서는 환율 급등을 억제하는 심리적 저지선으로 여겨진다.
국민연금이 환 헤지에 나서는 환율은 1,410원선을 소폭 웃도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율이 일정 기준선에 이르면 기계적으로 시장에 달러가 쏟아져 환율 변동성을 줄여준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스라엘-이란 전쟁으로 뚜렷해진 강달러 기조로 당분간 고환율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높은 환율은 에너지 등 수입품 가격을 끌어올리기 때문에 무역수지에도 부정적이다.
◇ ‘내수 부진’ 덮친 고환율…경기불황·감세에 정책수단 ‘난망’
정부는 고물가·고금리로 내수 부진이 여전한 상황에서 ‘고환율’이란 예상 밖의 악재까지 겹치자 매우 당혹해하는 분위기다.
당장 고환율로 에너지 등 수입품 가격이 올라 이미 과일·채소 중심으로 상승한 물가를 더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이란·이스라엘 충돌로 국제 유가가 급등하고 있고, 미국 경기 호조세로 강달러 기조도 뚜렷해지면서 고금리 기조도 예상보다 길어질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제롬 파월 의장은 16일 “물가상승률이 2%로 낮아진다는 더 큰 확신에 이르기까지 기존 기대보다 더 오랜 기간이 걸릴 것 같다”고 밝혔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이날 미국 CNBC 방송과 인터뷰에서 “우리 금융통화위원회는 금리 인하 신호를 아직 보내지 않고 있다”고 언급했다.
문제는 고금리·고물가에 이어 환율까지 급등하면서 ‘3중고’가 현실화하고 있지만 정부로서는 당장 내수 부양에 동원할 정책 수단이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
빠듯한 재정 사정은 줄지 않은 한은 일시 차입금 규모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한은이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현재 정부가 한은으로부터 일시 대출하고 아직 갚지 않은 잔액은 총 32조5천억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기준으로 해당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2011년 이후 14년 만에 가장 많다.
정부가 국내외에서 이례적으로 연이틀 ‘구두 개입’에 나서며 환율 변동성 차단에 안간힘을 쓰는 것도 이런 위기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