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럽 보고서, 美 성인비만율 2022년 39.9%→올해 37.0%로 줄어
미국에서 체중 감량을 위해 ‘위고비’나 ‘오젬픽’과 같은 GLP-1 기반 치료제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최근 3년간 비만율이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30일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갤럽이 최근 발표한 ‘미국 전국 건강 및 웰빙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미국 성인 가운데 비만으로 분류된 사람은 37.0%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22년 조사에서 미국 성인의 비만율이 역대 최고치인 39.9%를 기록했던 것에서 3% 포인트 가까이 많이 감소한 것이다.
이는 지난 3년간 미국의 성인 비만 인구가 760만명 줄어든 것을 의미한다고 갤럽은 설명했다.
갤럽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비만율은 2022년 39.9% 이후 2023년 38.4%, 2024년 37.5%, 올해 37.0%로 점진적으로 감소해왔다.
갤럽은 체질량지수(BMI) 30 이상인 사람을 비만으로 분류하고 있다.
BMI지수는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지난 3년간 미국의 성인 비만율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은 GLP-1 기반의 비만치료제 사용이 늘어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GLP-1은 음식 섭취 후 소장의 L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당을 안정시키고 식욕을 억제함으로써 체중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당뇨병과 비만 치료에 활용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체중 감량을 위해 GLP-1 주사를 맞은 적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12.4%로 지난 2024년 2월 조사 때(5.8%)의 두 배를 넘었다.
특히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GLP-1 사용 비율이 더 높고, 비만율 또한 남성보다 더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서 미국 성인 여성의 15.2%(2024년 조사에선 6.9%)가 체중 감량 주사를 맞은 적이 있다고 답한 반면에 남성은 9.7%(2024년 조사 땐 4.7%)가 맞았다고 밝혔다.
미국 성인 여성의 비만율은 2022년 조사 때보다 3.5% 포인트 감소한 38.8%였고, 남성의 비만율은 2.3% 포인트 줄어든 35.2%였다.
이번 조사 결과는 올해 세 차례에 걸쳐 모두 1만6천946명의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3건의 데이터를 종합해 도출했으며 오차범위는 ±0.9%라고 갤럽은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