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구팀 “접종 노인 치매 발생 감소…치매 예방에 백신 활용 가능성”
대상포진 백신을 접종한 노인과 접종하지 않은 노인의 치매 발병 위험을 7년간 추적 관찰하는 연구에서 대상포진 백신을 접종하면 치매 발병 위험이 20% 낮아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미국 스탠퍼드대 파스칼 겔드세처 교수팀은 3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영국 웨일스 지역의 79세 전후 노인 중 대상포진 백신 접종자와 비접종자의 치매 위험을 7년간 추적한 결과 접종자의 치매 위험이 비접종자보다 2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 중 백신의 치매 예방 효과를 가장 명백하게 보여주는 증거라며 백신을 이용한 치매 예방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대상포진은 통증을 동반한 발진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에 의해 발생한다. 어린 시절 수두에 걸린 후 바이러스가 신경 세포에 잠복해 있다가 나이가 들거나 면역체계가 약해지면 재활성화돼 대상포진을 일으킨다.
연구팀은 건강기록 기반의 이전 연구에서 대상포진 백신이 치매 발병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것이 백신 효과인지 백신 접종자들이 가진 건강 습관 등의 영향인지 설명할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영국 웨일스 지역에서 2013년 시행된 대상포진 백신 프로그램으로 백신이 치매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다른 요인들을 배제하고 조사할 수 있는 ‘자연 임상실험’ 환경이 형성된 점에 주목했다.
2013년 9월 1일 시작된 대상포진 백신 프로그램은 당시 79세인 사람은 누구나 1년간 백신을 접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78세는 다음 해부터 1년간 접종 자격이 주어졌지만 80세가 된 사람은 접종 대상이 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다른 요인들은 모두 같으면서 태어난 시기만 몇주 다른 28만2천541명이 참가하는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 상황이 만들어졌고, 이를 통해 백신 접종이 치매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 관찰할 수 있었다. 백신 접종에는 바이러스 독성을 약화한 약독화 생백신이 사용됐다.
백신 접종 후 7년간 접종 그룹과 비접종 그룹의 건강을 비교한 결과 접종 그룹의 대상포진 발생률이 3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까지 86세와 87세 노인 8명 중 1명이 치매 진단을 받았고, 대상포진 백신을 접종자들은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사람들보다 치매에 걸릴 확률이 20%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치매 예방 효과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컸다. 이는 면역 반응의 성별 차이 또는 치매 발병 방식 때문일 수 있다고 겔드세처 교수는 말했다. 여성은 평균적으로 백신에 대한 항체 반응이 더 강하고 대상포진도 여성에서 더 흔하다.
연구팀은 이 결과가 백신의 치매 예방 효과를 명백하게 보여준다면서도 이것이 백신의 면역체계 활성화 효과인지 아니면 바이러스 재활성화 억제 덕분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약독화 백신보다 대상포진 예방 효과가 더 좋은 최신 재조합 백신도 치매 예방 효과가 있는지도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는 백신이 치매를 예방하거나 지연시키기 위한 비용 효율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이 효과가 인과관계인지 확인하고 정확한 메커니즘을 밝히려면 무작위 임상시험 형태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Pascal Geldsetzer et al., ‘A natural experiment on the effect of herpes zoster vaccination on dementia’,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5-0880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