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부문 이어 감독·비평가주간서도 초청 불발
한국 영화가 올해 칸국제영화제의 경쟁 부문 등 공식 부문에 초청되지 못한 데 이어 감독·비평가주간 등 비공식 부문의 초청장을 받는 데에도 실패했다.
한국 장편 영화가 칸영화제의 공식 부문과 비공식 부문에서 모두 초청이 불발된 건 26년 만의 일이다.
칸영화제 감독주간 집행위원회가 15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제78회 칸영화제 상영작 명단에는 한국 영화가 포함되지 않았다.
프랑스 감독협회가 차별화된 영화를 소개하기 위해 1969년 신설한 감독주간은 칸영화제의 비공식 부문 중 하나다.
그동안 류승완 감독의 ‘주먹이 운다'(2005), 봉준호 감독 ‘괴물'(2006), 연상호 감독 ‘돼지의 왕'(2012) 등이 이 부문을 통해 상영됐다. 홍상수 감독의 ‘우리의 하루’는 2023년 감독주간 폐막작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한국 영화는 또 다른 비공식 부문인 비평가주간에도 초청받지 못했다.
프랑스 비평가협회가 1962년부터 주관한 이 부문은 신인 감독을 발굴하는 데 중점을 둔다.
최근 한국 감독 초청작으로는 한준희 감독의 ‘차이나타운'(2015), 정주리 감독 ‘다음 소희'(2022), 유재선 감독 ‘잠'(2023) 등이 있다.
공식 부문에 이어 감독주간과 비평가주간에서도 초청받지 못하면서 올해 칸영화제에선 한국 장편을 한 편도 볼 수 없게 됐다.
한국 장편 영화가 공식 부문과 비공식 부문에서 초청작을 내지 못한 건 1999년 이후 처음이다.
앞서 한국 영화는 칸영화제 집행위원회가 지난 10일 발표한 경쟁 부문, 비경쟁 부문, 주목할 만한 시선 등에서 초청이 불발됐다. 한국 영화가 공식 부문에 초청받지 못한 건 2013년 이후 12년 만의 일이다.
칸영화제는 1984년 이두용 감독의 ‘여인잔혹사 물레야 물레야’를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초대한 것을 시작으로 꾸준히 한국 작품을 선보여왔다.
특히 봉준호 감독에게 ‘기생충’으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안겼고 박찬욱 감독에게는 심사위원대상(‘올드보이’), 심사위원상(‘박쥐’), 감독상(‘헤어질 결심’) 등 3개의 상을 수여했다. 이창동 감독은 ‘시’로 각본상을, 임권택 감독은 ‘취화선’으로 감독상을 받았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브로커’에 출연한 송강호는 남우주연상을, 이창동 감독의 ‘밀양’에서 주연한 전도연은 여우주연상을 가져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