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특강 진행…”감내 수준 넘어서면 가격 인상도 고려”
LG전자, 인도 IPO 시점 검토…”불확실성 지속에 예의주시”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는 ‘미국발 관세 영향’에 대해 “관세 인상 폭이 우리가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면 (미국향 가전제품의) 가격 인상을 검토할 수 있다”며 “미국 공장 증설은 사실상 가장 마지막 단계”라고 말했다.
조 CEO는 지난 24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전기·정보공학부 대상 특별 강연에 앞서 취재진을 만나 “운영 효율화 등을 통해 (관세를) 수용할 수 있는 만큼은 최대한 수용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LG전자는 미국 테네시 공장에서 세탁기와 건조기를 제조하고 있으며, 멕시코에서는 생활가전(냉장고·조리기기)과 TV를, 베트남에서는 냉장고, 세탁기 등을 생산한다.
현재 미국 정부는 국가별 상호관세는 유예하고 전 세계 국가에 10%의 기본관세(보편관세)만 부과한 상태다.
LG전자는 상호관세가 현실화할 경우 주요 가전 생산지를 미국 현지로 옮기거나,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에 기반한 스윙 생산 체제, 가격 인상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 중이다.
조 CEO의 이날 발언은 10% 수준의 기본관세는 운영 효율화나 재고 순환 등 내재화된 역량을 통해 감당이 가능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LG전자는 1분기 실적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관세 대응 전체 금액에 대한 제조 원가 개선, 판가 인상 등 전체 로드맵은 이미 준비돼 있다”며 “판가 인상에 대한 고객사 협의는 이미 완료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일각에선 제기되는 미국 공장 증설 가능성에 대해 조 CEO는 “미국 생산 기지 건립은 마지막 수단이라고 생각한다”며 “우선 생산지 변경이나 가격 인상 등 순차적인 시나리오에 따라 해야 할 것 같다”고 했다.
LG전자 미국 테네시 공장 전경[LG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본격적인 관세 효과는 올해 2분기부터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조 CEO는 “(관세 정책 시행 전 제품을 미리 사두는) ‘풀인 효과’는 1분기에 그렇게 크지 않았다”며 “관세로 (실적이) 악화가 되든, 플러스가 되든 2분기부터 시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통상 정책 변화가 가시화하는 2분기에는 1분기보다 실적이 둔화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LG전자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22조7천398억원, 영업이익은 1조2천591억원을 기록했다.
아울러 인도법인 기업공개(IPO) 시점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LG전자는 최근 인도법인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청구서 수정본(이하 UDRHP) 작업을 완료하고 제출 시점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 CEO는 “6월이 될지 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글로벌 불확실성이 큰 상황인 만큼 몇개월 정도 지켜보려고 한다”며 “IPO를 통해 돈을 많이 가져오겠다는 게 목적이 아니다. 회사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고 주주 가치도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조 CEO는 이번 강연에서 ‘기술로 완성하는 경험의 혁신’을 주제로 LG전자의 공감지능(AI) 기반의 첨단 기술과 미래 지향점 등을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