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지원·정신적 지원도 필요…
지난 6월 1일은 미국내 허리케인과 산불 주간이 공식적으로 시작된 날이다. 최근 기후변화의 여파로 미국 전역은 산불과 허리케인 등으로 몸살을 앓아왔다.
플로리다, 오리건, 캘리포니아, 루이지애나 텍사스 운동가들이 모인 비영리단체 오거나이징리사일런스(Organizing Resilience)와 EMS는 지난 3일 온라인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의 자연재해대책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운동가들은 먼저 지난해 여름 허리케인 아이다(Hurricane Ida)로 10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루이지애나주의 상황을 소개했다. 이 지역 비영리단체인 평등과 정의를 위한 연합(Power Coalition for Equity and Justice)의 애쉴리 쉘턴(Ashley Shelton) CEO는 “FEMA(연방재난관리청)은 태풍 상륙 후 2주 동안 나타나지 않았다. 필사적인 상황에 처한 주민들은 낚시나 사냥으로 식량을 확보해야 했다”고 곤혹스런 상황을 밝히기도 했다.
정부가 할 일은 재난구호에 그치지 앟는다. 이재민들이 신속하게 보험사에서 피해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보완하는 것도 정부가 할 일이라고 쉘턴CEO는 밝혔다. 자연재해로 집이 무너졌는데 이재민들에게 보험서류를 찾아내라고 요구하거나, 컴퓨터로 피해 신청서를 작성해 제출하라는 식의 관료주의적 태도는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민자들을 위한 외국어 정보 제공도 전실히 필요하다. 오리건주 비영리단체 PCUN의 데이지 베돌라 소텔로(Daysi Bedolla Sotelo)는 재해 발생시 비상안내 문자메시지가 영어로만 발송되고 있어, 스페인어 및 외국어를 사용하는 주민들은 정보를 접하기 힘들었다고 지적했다.
이재민들의 빠른 복귀를 위해서는 재정지원 뿐만 아니라 정신적 지원도 필요하다.
2021년 기록적 한파와 정전 사태를 겪은 텍사스주 휴스턴의 주민들은 아직도 PTSD를 겪고 있다고 이 지역 비영리단체 HOME Coalition의 크리쉘 펠레이(Chrishelle Palay) 국장은 소개했다. 저소득층 거주지역 주민들은 한파가 지나간지 반년 후에도 수도관이 파열되고 물이 새는 지붕과 주택을 견뎌내면서 정신적으로도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자연재해로 인한 이재민을 줄이려면 먼저 상습 피해지역인 저소득층 지역의 주택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예를 들어 플로리다주는 매년 토네이도 사태를 겪고 있지만, 열악한 주택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주민들은 머물수도 없고 타주로 피난갈 수도 없다고 비영리단체 플로리다 라이징(Florida Rising)의 맥켄지 마셀린(MacKenzie Marcelin) 국장은 지적한다.
이 단체는 모든 거주지역의 정의 캠페인(Justice on Every Block campaign)을 통해 랜드로드가 주택을 좀더 철저히 관리해서 저소득층 테넌트도 자연재해 피해를 덜 겪을수 있도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