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보험사 사칭해 개인정보 노려… “.gov 사이트만 이용”
최근 건강보험 ‘오픈 등록(Open Enrollment)’ 시즌을 맞아 저렴한 보험을 미끼로 한 사기 문자가 급증하고 있다.
애틀랜타 뉴스퍼스트에 따르면,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 주민 한 명은 몇 시간 사이 세 통의 보험 관련 문자를 받았다.
이 문자들은 문장 내 대문자 남용, “self emp.”(자영업자 추정) 등의 비정상적인 약어 사용, 무작위 지역번호 발신 등 여러 ‘의심 신호’를 포함하고 있었다. 전문가들은 “세금 공제 혜택 종료와 의료비 상승으로 보험료 부담이 커진 가운데, 이를 악용한 사기 피해가 늘고 있다”고 경고했다.
조지아 액세스(Georgia Access) 자료에 따르면, 일부 주민의 보험료가 전년 대비 3~4배 가까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강조하고 있다.
▲ 발신자 신원 직접 확인
전화번호 표시(ID)는 조작이 가능하므로, 통화를 끊고 공식 웹사이트에 게재된 번호로 직접 문의해야 한다.
▲ 개인정보 요구 시 즉시 중단
사회보장번호(SSN), 은행 계좌, 신용카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사기일 가능성이 높다.
▲ 플랜·에이전트 등록 여부 확인
조지아주 보험 및 소방안전국(Georgia Office of Insurance and Safety Fire Commissioner) 웹사이트에서 해당 보험플랜과 에이전트의 정식 등록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가짜 웹사이트 주의
공식 건강보험 마켓플레이스는 반드시 ‘.gov’로 끝난다. 비슷한 주소를 가진 사이트는 개인정보 탈취 목적일 가능성이 있다.
▲ 기프트카드·현금 요구는 100% 사기
정상적인 보험사는 보험료를 현금이나 송금, 기프트카드로 요구하지 않는다.
최근 연방정부 셧다운이 장기화되면서 이를 악용한 가짜 정부 지원금·복지 사기도 확산되고 있다.
이들은 ▲셧다운 피해 구제금 신청, ▲여권·비자 신속 처리 대행, ▲SNAP·메디케어·연금 혜택 유지 지원 등을 내세워 접근한다. 카드웰은 “AI 기술이 더해지면서 실제 정부 문서나 이메일과 거의 구분되지 않을 정도로 정교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 정부·공공기관 사칭 사기 예방법
-
의심스러운 연락은 일단 끊고 공식 경로로 확인
-
정부 지원금·복지혜택에는 수수료·처리비 없음
-
이메일·문자 내 링크 클릭 금지
-
협박·압박형 대화는 즉시 의심
-
내가 먼저 연락한 경우가 아니라면 개인정보 제공 금지
피해를 입었거나 의심스러운 연락을 받았다면 연방거래위원회(FTC) 또는 조지아주 보험 및 소방안전국(Georgia Office of Insurance and Safety Fire Commissioner)에 즉시 신고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