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안면마비, 당뇨병이 발병 시발점일 수도

안면마비[연합뉴스TV 제공]

한 사람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얼굴에는 총 43개의 근육이 존재한다. 이들 근육을 통해 자기만의 미세한 표정을 만들어냄으로써 상대방과 정교하게 소통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안면근육을 움직이는 건 뇌의 일곱번째 신경인 ‘안면신경’이다. 두개골을 빠져나온 신경이 각 측면에서 안면근육을 움직이는 역할을 해준다.

이런 안면신경에 이상이 생기면 ‘급성 안면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

웃거나 눈을 깜빡이는 게 어려워지는 것은 물론 씹는 능력이 떨어지기도 한다. 눈꺼풀이 잘 감기지 않아 눈물의 흐름이 감소하거나, 입맛이 떨어지고 입이 삐뚤어지는 등의 증상도 나타난다. 기능적인 장애 외에도 안면 비대칭에 의한 심미적 문제는 사회활동까지 위축시킨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약 9만∼10만명 정도의 급성 안면마비 환자가 꾸준히 발생한다.

안면마비 증상을 부르는 가장 흔한 원인 질환으로는 ‘벨마비’와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얼굴이나 귀 주변에 감염돼 발생하는 ‘람세이 헌트 증후군’이 꼽힌다. 이외에도 바이러스 감염, 외상, 청각 종양, 악성 종양, 고막 안쪽의 진주종, 자가면역장애, 임신, 치료 중 손상, 선천성 이상 등도 안면마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대표적인 성인병으로 꼽히는 당뇨병이 안면마비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25일 국제학술지 ‘신경역학'(Neuroepidemiology) 최신호에 따르면, 한양대 의대 이비인후과 정재호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환자 진료 빅데이터(2002~2019년)를 분석한 결과, 당뇨병이 급성 안면마비 발생 위험을 높이는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를 당뇨병군(9만2천868명), 비당뇨병 대조군(37만1천392명)으로 나눠 대표적인 안면마비 질환인 벨마비와 람세이 헌트 중후군 발생률을 각각 비교 분석했다.

이 결과 당뇨병군의 벨마비 발생률은 인구 1만명당 31.4명으로, 당뇨병이 없는 대조군의 22.1명보다 1.42배 더 높았다.

람세이 헌트 증후군 발생률도 당뇨병군이 인구 1만명당 4.6명으로, 대조군의 2.9명에 견줘 1.61배에 달했다.

연구팀은 당뇨병이 신체의 면역체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잠재적으로 급성 안면마비 발병에 기여할 수 있는 바이러스 감염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당뇨병이 혈액 공급에 장애를 일으켜 저산소증에 의한 미세혈관병증, 대혈관병증 등의 신경병증 발병 위험성을 높이는 것도 안면마비로 이어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정재호 교수는 “급성 안면 마비는 기능적, 심미적 문제를 일으켜 개인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치료뿐만 아니라 당뇨병 등의 선행 질환 예방에도 중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는 당뇨병 환자에게 발생한 안면마비 치료를 위해 필수적인 스테로이드 복용에도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 교수는 “벨마비 등의 급성 안면마비는 치료를 위해 발병 2∼3일 안에 고농도 스테로이드를 복용하는 게 중요하지만, 이는 당뇨병 환자에게 혈당치를 상승시키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면서 “전문의 상담을 통해 고용량 스테로이드 복용 시 혈당치가 정상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