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시장 달래기’에 뉴욕증시 상승…나스닥 2.5%↑

트럼프, 관세·연준 관련 유화 제스처…3대 지수 ‘안도 랠리’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관세정책과 중앙은행에 대한 금리 인하 요구에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하면서 23일 뉴욕증시가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19.59포인트(1.07%) 오른 39,606.57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88.10포인트(1.67%) 오른 5,375.8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407.63포인트(2.50%) 오른 16,708.05에 각각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해임을 생각하지 않는다며 금리 인하 압박 공세 수위를 낮추면서 미국 중앙은행의 독립성 유지를 둘러싼 시장의 우려를 덜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뉴욕증시 마감 후 파월 의장에 대해 “그를 해임할 생각이 전혀 없다”면서 “그가 금리 인하 아이디어에 좀 더 적극적이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에 부과한 145% 관세율에 대해 “매우 높다”면서 협상 진전에 따라 대중 관세가 상당히 내려갈 수 있음을 시사, 시장을 안심시켰다.

다만, 이날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이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관세를 일방적으로 인하하겠다는 제안을 한 것은 아니라고 언급하면서 주가지수는 상승 폭을 일부 반납했다.

이날 주가 상승은 그동안 조정 폭이 컸던 대형 기술주에 집중됐다.

테슬라는 전날 발표한 실적이 시장 기대에 못 미쳤지만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내달부터 정부 업무를 줄이고 테슬라 경영에 집중하겠다고 밝히면서 주가가 5.4% 상승했다.

애플과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 주가는 유럽연합(EU)에서 디지털시장법 위반으로 각각 수천억원대 과징금을 부과받았음에도 각각 2.4%와 4.0% 뛰었다.

엔비디아 주가는 인공지능(AI) 칩 H20의 중국 수출 제한 속에도 3.9% 올랐다.

베어드의 로스 메이필드 투자전략 애널리스트는 “중앙은행의 독립성은 선진국 시장에선 언급되지 않는 중요한 기반”이라며 “이를 위협하는 것이 채권과 달러화에 압력을 가했고, 미국 바깥으로 자금 유출을 가속화했다”라고 말했다.

아메리카프라이스의 러셀 프라이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전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및 파월 의장 관련 발언에 대해 “두 가지 모두 시장이 얻기를 바라던 긍정적인 재료들이었고, 시장은 실제로 그것을 얻었다”라고 평가했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