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데헌’ 만든 매기 강 감독 “한국 문화 콘텐츠에 한계는 없죠”

李대통령과 아리랑TV 토크쇼 출연…트와이스 “‘골든’ 부를 걸 후회도”

“한국 문화 콘텐츠에는 한계가 없어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를 만들면서 연구하다 보니 제가 모르는 것(한국 문화)도 너무 많더라고요. 그렇다면 세계에 보여줄 수 있는 것도 더 많은 거죠.”

최근 화제가 된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매기 강 감독은 20일 아리랑TV 토크쇼 ‘K-팝 : 더 넥스트 챕터’에 출연해 한국 문화 콘텐츠가 가진 무궁무진한 힘에 대해 언급했다.

5살 때 미국으로 건너간 한국계 미국인인 매기 강은 할리우드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일하기 시작했을 때부터 애니에 한국 문화를 담아내고 싶다는 꿈을 가졌다고 했다.

이 같은 꿈은 어릴 적 미국에서의 경험이 반영된 결과다.

그는 “제가 2∼3학년 정도일 때 선생님이 ‘너는 어느 나라에서 왔니’ 해서 ‘사우스 코리아’라고 답했는데, 지도에서 찾지를 못하더라”며 “그때부터 우리나라를 살려줄(알릴) 생각이 들었던 것 같다”고 돌이켰다.

‘케데헌’을 연출하며 해외 입맛에 맞추기보다는 진짜 한국 문화, 독특하면서도 매력적인 요소들을 선보이려고 했다는 점도 강조했다.

강 감독은 “우리의 진짜 모습을 보여주면 사람들이 궁금해한다”며 “(케데헌에서는) 한국 문화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자는 게 목표였고, 그것이 세계인들에게 통한 것 같다”고 말했다.

‘케데헌’에서는 한국 전통문화에 해당하는 저승사자와 최신 대중문화인 아이돌이 함께 나온다.

그는 “도깨비나 물귀신, 저승사자 이미지가 좀 특이하다고 생각했다”며 “자연스럽게 데몬 헌터스(퇴마사) 이야기가 나왔고, 케이팝을 붙였더니 컨셉이 재미있어지더라”고 설명했다.

시기도 적절하게 맞아떨어졌다. 그는 “당시 여러 할리우드 스튜디오에서 K-팝 영화를 만들고 싶어 했는데, 아무 데서도 나오지 않았다”며 “그래서 내가 해볼까 싶었다”고 덧붙였다.

‘케데헌’ 속 걸그룹 헌트릭스의 메인 보컬이자 주인공인 루미에 대한 비하인드 스토리도 털어놨다.

그는 “루미 캐릭터를 먼저 만들고 컨셉은 나중에 붙였다”며 “딸 이름도 루미라고 지었고, 영화 속 루미가 어릴 적 모습에서 목소리 연기와 노래도 우리 딸이 한 것”이라고 자랑스레 말했다.

이날 토크쇼에는 이재명 대통령과 트와이스 지효·정연도 참석했다.

트와이스의 지효·정연·채영은 ‘케데헌’ 속 오리지널사운드트랙(OST) 가운데 ‘테이크다운'(Take Down)을 불러 화제가 됐다.

정연은 “데뷔 이래로 ‘테이크다운’이 제일 어려운 노래였다”고 했고, 지효도 “(제작진이) 헌트릭스 곡을 다 보내주고 하고 싶은 것을 고르라고 해서 마음 편히 골랐다. ‘골든'(Golden)을 고르지 않은 것은 살짝 후회된다”고 귀띔했다.

트와이스 지효·정연·채영 버전 ‘테이크다운’은 빌보드 메인 싱글 차트 ‘핫 100’에서 60위에 오르기도 했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