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비리그를 포함한 최상위권 대학에 지원하려는 학생·학부모라면 반드시 준비해야 할 것이 바로 추가 에세이(Supplemental Essay)다. 공통지원서(Common App)의 메인 에세이와 별도로 대학이 요구하는 짧은 글로, 지원자의 ‘학교 적합성(Fit)’을 드러내는 핵심 요소로 평가된다.
입학사정관들은 성적·스펙으로는 구별하기 어려운 학생들의 차이를 추가 에세이를 통해 확인한다. 전문가들은 “추가 에세이가 합격을 가르는 결정적 변별력”이라며 전략적 접근을 강조한다.
■ 추가 에세이, 왜 중요한가
추가 에세이는 보통 100~400단어 내외의 짧은 글이지만, 대학별 철학과 인재상을 반영한 매우 정교한 질문으로 구성된다.
대학은 이를 통해 ▲학교 이해도 ▲전공 적합성 ▲지적 호기심 ▲커뮤니티 기여도 ▲개인적 성찰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전문가들은 “학교마다 동일한 내용을 돌려쓰는 것은 가장 흔한 탈락 요인”이라며 “철저한 대학별 맞춤 작성이 필수”라고 조언했다.
■ 아이비리그가 자주 요구하는 4대 에세이 유형
1) ‘Why Us’ 에세이 – 왜 이 대학인가?
가장 많이 출제되는 유형으로, 지원자가 해당 학교를 얼마나 깊이 이해했는지를 평가한다.
작성 전략
-
대학의 특정 프로그램·연구실·교수·캠퍼스 문화 등 고유 요소를 먼저 조사
-
학교의 자원을 본인의 활동·목표와 연결
-
“명문이어서”, “캠퍼스가 좋아서”와 같은 피상적 이유는 금물
-
여러 대학에 이름만 바꿔 제출하면 100% 들통 난다
좋은 예시 접근
“고등학교 환경동아리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를 UPenn의 ‘○○랩’ 연구 기회와 연결해 더 심화시키고 싶다.”
2) ‘Intellectual Curiosity’ – 학문적 호기심 어필
특정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열정과 탐구 과정을 묻는 에세이 유형이다.
작성 전략
-
단순 흥미가 아닌 행동으로 이어진 호기심을 보여주기
-
너무 기술적 설명보다 “왜 이 분야가 나에게 의미 있는가” 강조
-
개인 경험 + 학문적 탐구를 함께 제시
-
독학, 프로젝트, 연구, 어려움 극복 경험 등이 좋은 소재
3) ‘Community’ – 공동체 경험과 기여
커뮤니티에서의 참여·협력·기여를 통해 지원자의 인성·리더십을 평가한다.
작성 전략
-
커뮤니티의 범위는 학교·동아리·가족·종교 모임·온라인 등 폭넓게 해석
-
“무엇을 했는가”보다 “어떤 변화를 만들었고 무엇을 배웠는가”가 핵심
-
팀워크·갈등 해결·세대·문화 간 소통 경험 등 좋은 소재
-
지나친 ‘영웅 서사’는 피하고 겸손·협력·배움 중심으로 구성
4) ‘Identity/Diversity’ – 나라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
지원자의 정체성, 배경, 개인적 관점이 대학 공동체에 어떤 기여를 할지 묻는 유형이다.
작성 전략
-
문화·가족·언어·환경·성격·경험 등 ‘나를 구성하는 요소’를 탐색
-
단순 배경 설명이 아니라 그 경험이 내 가치관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설명
-
솔직한 성찰 + 긍정적 성장 중심
-
가능하면 정체성과 대학 생활을 자연스럽게 연결
■ 추가 에세이 전체 공통 전략
● 핵심 메시지 명확히:
각 에세이는 지원자의 스토리에서 서로 다른 퍼즐 조각 역할.
● 대학 맞춤형 작성:
학교의 미션·프로그램·수업명·교수 이름 등 구체적 키워드 포함.
● 구체적 경험 제시:
“리더십이 있다”보다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발휘했는지가 중요.
● 창의적·신선한 접근:
형식 실험은 과하지 않게, 진부한 마무리 대신 인상적인 장면 묘사 활용.
● 진짜 ‘학생의 목소리’:
너무 성인스러운 표현은 감점 요인.
솔직하되 전략적 솔직함이 필요.
● 치밀한 교정과 분량 준수:
단어 수 초과, 문법 오류, 반복 표현 등 기본 실수는 즉시 감점.
■ 수험생들이 가장 자주 하는 실수
-
추가 에세이를 마감 직전에 작성
-
여러 대학에 복붙 제출
-
“명문이라 지원했다” 등 피상적 이유 나열
-
학교 홍보문구만 읊고 자신의 이야기 부재
-
메인 에세이와 중복된 내용 재활용
-
철자·문법 등 기본 검토 소홀
전문가들은 “추가 에세이는 가볍게 쓰는 부속물이 아니라 사실상 두 번째 메인 에세이”라며 충분한 시간을 들일 것을 권했다.
■ 학부모가 도울 수 있는 부분
-
일정 관리 및 브레인스토밍 도와주기
-
경험과 강점을 함께 떠올려 주기
-
초안에 대해 피드백은 하되 대신 작성 금지
-
장점 중심의 긍정적 격려 제공
“아이비리그 합격자도 처음부터 완벽한 글을 쓰지 않는다.
여러 번의 수정과 성찰을 통해 최고의 글이 완성된다”는 점도 강조했다.
■ 상담 안내 (Elite Prep Suwanee)
맞춤형 아이비리그 에세이·입시 전략 상담 제공
-
📞 470.253.1004
-
주소: 1291 Old Peachtree Rd NW #127, Suwanee, GA 30024
-
웹사이트: eliteprep.com/suwanee
-
YouTube: youtube.com/@andyssamTV
-
Andy Lee / Elite Prep Suwanee powered by Elite Open Schoo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