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주의·기독교 민족주의·정치 결합…정책·입법까지 직접 영향
“온라인 수백만 네트워크로 성장…이미 제도권 안으로 들어왔다”
오랫동안 미국 사회의 주변부에 머물던 백인우월주의(extreme white nationalism)가 최근 주류 정치·문화 영역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이 움직임이 정책 결정 구조와 여론 형성까지 흔들며 미국 민주주의를 근본적으로 위협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 같은 지적은 14일 아메리칸커뮤니티미디어(ACoM)가 주최한 전국 언론 브리핑에서 나왔다. 이날 브리핑에는 백인우월주의·극단주의 연구 및 취재를 다뤄온 ▲히스 드루진 기자(‘익스트림아메리칸’) ▲매튜 데이비드 테일러 박사(‘The Violent Take It By Force’ 저자) ▲샌포드 슈람 뉴욕주립대 스토니브룩 객원교수(‘하드 화이트’ 공동저자) ▲데빈 버가트 IREHR 사무국장이 참석했다.
샌포드 슈람 교수는 오바마 정부 이후 강화된 백인 정체성 정치가 트럼프 시대를 거치며 공화당 내부에서 제도화됐다고 분석했다.
그는 “백인우월주의는 이제 단순 극단주의가 아니라 공화당 기반의 분노 정치와 결합한 제도적 세력”이라고 강조했다.
데빈 버가트 국장은 최근 조사에서 “전국적으로 약 1,000명의 주의원들이 극우 단체와 연계된 것으로 파악됐다”며 “과거 수천 명에 불과했던 극우운동이 현재는 온라인에서 수백만 명 규모의 네트워크로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매튜 데이비드 테일러 박사는 기독교 민족주의(Christian Nationalism)가 백인우월주의 담론 확산에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부 극우 종교운동이 미국의 국가 정체성과 기독교 정체성을 동일시하며 ‘백인 기독교 중심 질서 회복’이라는 구호를 정당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일부 복음주의 지도자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을 “신이 선택한 지도자”로 규정하며 지지층 결집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브리핑에서 가장 우려된 부분은 음모론의 정책화였다.
버가트 국장은 “‘이민자가 미국인을 대체한다’는 ‘대체이론(Great Replacement)’이 이미 주류 정치에 스며들었다”며 “이 주장에 근거한 법안이 실제로 다수의 주에서 통과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반백신·반 LGBTQ 운동이 하나의 극우 정치 네트워크로 뭉치면서 정책 영향력은 더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극단주의·백인우월주의·기독교 민족주의가 상호 연결되며 민주주의에 구조적 위협을 주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그들은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서는 시민·언론·정치권의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허위정보와 극단주의 담론을 조기에 식별하고 차단하는 사회적 연대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