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4일 우리 사회에 퍼져 있는 외래 용어 12개를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 발표했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지난달 국어심의회 국어순화분과위 심의·의결을 거쳐 외래 용어 ‘얼라이언스’, ‘액셀러레이팅/액셀러레이터’, ‘핸즈 온’을 각각 ‘협력체’, ‘창업 성장 지원/창업 성장 지원 기관’, ‘직접 체험(형)’으로 바꿔 쓰기로 했다.
다듬은 말의 후보안은 언론계, 학계 청년(대학생) 등이 참여한 ‘새말모임’에서 마련한 뒤 전국 15세 이상 국민 3천명을 대상으로 국민 수용도 조사 결과를 반영해 국어심의회 국어순화분과위에 상정했다.
이번 조사에서 국민이 우리말로 바꿔 써야 한다고 가장 많이 선택한 외래 용어는 ‘얼라이언스'(75.5%)와 ‘액셀러레이팅/액셀러레이터'(75.5%)였다.
‘얼라이언스’는 단체 간 전략적 제휴 관계를 뜻하는 말로 ‘협력체’로 바꿨으며, 갓 창업한 기업이나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에게 교육 등을 지원하는 ‘액셀러레이팅’과 ‘액셀러레이터’는 각각 ‘창업 성장 지원’과 ‘창업 성장 지원 기관’으로 다듬어 이해하기 쉽게 했다.
이외에도 창업이나 직무 교육과 관련해 쓰이는 ‘핸즈 온’과 ‘인큐베이팅/인큐베이터’ 등 외래 용어도 다듬었다. 체험을 통해 배우는 방식을 뜻하는 ‘핸즈 온’은 ‘직접 체험(형)’, 초기 창업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인큐베이팅’과 ‘인큐베이터’는 각각 ‘창업 초기 지원’·’창업 기반 지원’과 ‘창업 초기 지원 기관’·’창업 기반 지원 기관’으로 복수 대체어를 제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