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야라이고사 전 시장·본타 검찰총장 등 한목소리… “이건 미국 시민권의 위기다”
진보적 이민 정책의 상징으로 불리는 캘리포니아가 연방 정부의 이민 단속 강화 조치에 정면으로 맞서고 있다.
지난 27일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비영리단체 에이컴(ACoM)브리핑에서는 캘리포니아 주 지도자들과 학계·시민단체 인사들이 모여 트럼프 행정부의 단속 정책을 강하게 비판하고, 이에 대한 전략적 저항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행사에는 안토니오 비야라이고사(Antonio Villaraigosa) 전 로스앤젤레스 시장(현 주지사 후보), 롭 본타(Rob Bonta) 캘리포니아 주 검찰총장, 진네트 자니파틴(Jeannette Zanipatin) CHIRLA 정책옹호국장, 헨리 브래디(Henry Brady) UC버클리 교수 등이 참석해 각자의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발언에 나섰다.
비야라이고사 전 시장은 최근 벌어진 이민 단속 작전에 대해 “이건 법 집행이 아니라 명백한 협박”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군복 차림에 섬광탄을 터뜨리고, 가면을 쓴 요원들이 정원사, 유모, 심지어 미국 시민까지 끌고 가는 모습이 벌어지고 있다”며, 이는 과거 1930년대와 1950년대의 대규모 송환 작전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도 요원들이 신원 확인을 거부하지는 않았다. 지금 벌어지는 일은 전체주의 국가에서나 가능한 장면이다.”
캘리포니아 주 검찰총장 롭 본타는 “우리는 최전방이자 최후방의 방어선”이라며, 트럼프 행정부에 맞서 지금까지 26건의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민간 교도소 금지, 이민자 가족 보호 강화 등 다양한 입법 노력을 소개하며 “법 위에 있는 사람은 없으며, 대통령도 예외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본타는 최근 연방정부의 권한을 견제하려는 주정부의 시도를 막을 수 있는 대법원의 판결에도 우려를 나타냈다.
“우리는 헌법이 보장한 출생 시민권을 믿는다. 우리는 법정에서, 의회에서, 그리고 거리에서 계속 싸울 것이다.”
UC버클리의 헨리 브래디 교수는 “이 단속은 단지 이민자들에게만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라, 농업·의료·건설·교육 등 캘리포니아 전체 산업에 치명적인 타격을 준다. 예상되는 손실은 최대 2,750억 달러에 달할 수 있다.”라고 단속이 가져올 경제적 충격에 대해 경고했다.
브래디 교수는 “우리는 MAGA에 반대하는 모델이다. 그래서 표적이 된 것”이라며, 캘리포니아의 포용 정책이 트럼프 행정부의 배타적 정책과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CHIRLA의 자니파틴 국장은 “최근의 단속 작전으로 인해 로스앤젤레스 일부 지역이 ‘유령 동네’처럼 변했다”며 “사람들이 집 밖으로 나서지 못하고, 미국 시민들은 여권이나 출생증명서를 들고 외출하고 있다. 지난주에만 미국 시민 3명이 체포됐다. 이건 단순한 이민 문제가 아니라 시민권의 문제”라고 밝혔다.
그녀는 또한 단속에 투입된 요원들이 배지를 부착하지 않거나 번호판을 바꾸고 있으며, 일부는 다른 주에서 파견된 신원 불명의 인물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사들은 공통적으로 두려움보다는 연대를, 침묵보다는 목소리를 강조했다.
비야라이고사 전 시장은 “지금은 모든 배경을 가진 미국인들이 옳은 일을 위해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고, 본타 총장은 “여러분의 표현의 자유, 단체 결성의 자유, 그리고 두려움 없이 살 권리를 위해 우리는 법적으로, 제도적으로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번 포럼은 단순한 지역 행사가 아닌, 미국 내 이민 정책에 대한 근본적 질문과 대응을 다룬 중요한 장으로 기록되었다.
연사들은 한목소리로 외쳤다.
“이건 캘리포니아만의 싸움이 아니다. 미국 전체의 싸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