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英 QS 세계대학순위 31위…한국 대학들 약진

서울대학교 정문[서울대학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 세계대학순위 공개…美 MIT, 13년 연속 1위

카이스트·연세대·고려대 등 국내 대학 5곳 100위권에

영국 고등교육 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의 최신 세계대학순위에서 서울대 등 국내 대학들이 전년도에 비해 약진한 것으로 드러났다.

QS가 4일 홈페이지에 공개한 ‘2025 QS 세계대학순위’에 따르면 서울대는 31위로 국내 대학 중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다.

서울대는 학계 평판 및 직원 평판, 교수와 학생 수 비율, 논문 인용도 등을 종합해 내린 종합 점수(100점 만점)에서는 82.3점을 기록했다.

앞서 2023년 29위까지 올랐다가 2024년 종합 점수 78.5점으로 41위로 내려왔던 서울대는 2025년 평가에선 10계단 상승하면서 28위에서 32위로 하락한 일본 도쿄대 등을 앞질렀다.

이 외에도 카이스트, 연세대, 고려대, 포항공대 등 국내 대학 총 5곳이 10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카이스트는 53위로 전년도 56위보다 3계단 올랐으며 연세대(76위→56위), 고려대(79위→67위), 포항공대(100위→98위) 모두 순위가 올랐다.

2025년 QS 세계대학순위는 세계 105개 고등교육체계에 속한 대학 1천500곳 이상을 대상으로 매겨졌다.

이중 미국 내 교육기관이 197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영국(90곳), 중국(71곳)이 그다음으로 많이 이름을 올렸다.

한국에서는 총 43개 기관이 평가 대상에 포함됐다.

미국의 매사추세츠공대(MIT)가 13년 연속으로 1위에 올랐으며, 영국의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와 옥스퍼드대는 나란히 2위와 3위를 기록했다.

아시아권 대학 중에서는 싱가포르국립대(NUS)가 8위로 가장 순위가 높았으며 중국 베이징대(14위), 싱가포르 난양공대(NTU·15위)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전년도보다 순위가 하락한 대학 비율은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 대체로 높았다.

미국 대학 중에서는 67%, 영국은 58%가 순위가 내려간 반면 인도는 9%, 중국은 16%만이 지난해보다 순위가 하락했다.

한국의 경우 순위가 낮아진 대학 비율은 35%로, 전년도와 같거나 더 높은 평가를 받은 대학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