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했기에 복원된 조선인 피해자 삶…다큐 ‘되살아나는 목소리’

영화 ‘되살아나는 목소리’ 속 박수남 감독[시네마달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일제강점기 피해자 목소리 기록…재일조선인 2세 박수남 감독 삶도 담겨

“한 사람, 한 사람 삶의 체험을 기록하려고 했습니다.”

영화 ‘되살아나는 목소리’의 박수남 감독은 8일 서울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작품이 갖는 의미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되살아나는 목소리’는 일제강점기 시절 식민 지배와 침략전쟁에 희생된 조선인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담은 다큐멘터리다.

‘또 하나의 히로시마-아리랑의 노래'(1986) 등을 통해 조선인 피해자의 삶을 기록해온 박 감독이 그간의 작품에 담지 못한 약 50시간 분량의 필름을 복원해 만들었다. 박 감독의 딸 박마의 감독이 작업을 함께 했다.

이들 모녀 감독이 복원한 영화 속 피해자들의 목소리는 선명하고 강렬하다. 수원 제암리교회 학살 사건의 유일한 생존자가 일제가 저지른 만행을 증언하는 모습은 그때로 돌아간 것만큼 생생하다.

나가사키·히로시마에서 각각 원자폭탄 피해를 본 두 할머니가 서로 마주해 화장품의 용도를 묻는 대화는 일상적이지만, 몸에 새겨진 피폭의 후유증은 그들 삶의 고난을 짐작하게 한다.

때로는 삶이 어땠는지 묻는 말에 “말로는 다 할 수 없다”며 눈물만 흘리는 피해자도 있다.

목소리를 직접 들을 수 없지만, 영화 속에 등장하는 박 감독은 이것이 펜이 아닌, 카메라를 든 이유라고 말한다. 침묵 자체가 보여주는 그간의 삶을 카메라는 담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박 감독이 조선인 피해자에 주목하게 된 배경에는 그 자신이 재일조선인 2세로서 차별과 멸시를 겪었던 삶이 있다.

한복을 입은 어머니와 함께 길을 걷다가 욕설을 들은 경험이 그의 기억에 뿌리 깊게 새겨진 것이다.

영화는 정체성 혼란을 겪던 박 감독이 조선인으로서의 삶을 선택하고 다큐멘터리 감독의 길을 걷게 된 여정도 조명한다.

위안부 할머니들을 담은 영화 ‘침묵'(2016)을 제작하고 일본 현지에서 상영회를 개최하는 등 최근까지도 기록을 위해 분투해온 박 감독의 모습도 영화에 담겼다.

박 감독은 목소리를 기록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며 원폭 피해자들의 마음을 열기 위해 술을 같이 마시며 일했던 일화를 전했다.

박 감독은 “마음을 열어야 말이 나오지 않느냐”면서 “그분들은 사실 이야기하려고 하지 않았다. 언어로서의 침묵을 듣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지 않으면 안 됐다”고 떠올렸다.

그는 “혁명을 만들기 위해 기록 영화를 만들고 있다”며 계속해서 작업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모녀 감독은 남아 있는 필름을 복원하고 오키나와섬에서 벌어진 집단자살 사건의 생존자 증언을 작품으로 만들 계획이다.

Exit mobile version